헛수고, 2025, gouache on Korean paper, 30 × 30 cm

Soup constantly changes its form depending on the vessel it is placed in,

symbolizing the essence of relationships that can never be fully grasped.

In contrast, the fork represents the attempt to seize it somehow.


Yet every time the fork touches the soup, it splits and scatters.

The harder one tries to hold on, the more it slips away, leaving only the realization of its unattainability.

This scene reflects the sense of helplessness we often feel within relationships:

the desire to cling to something we know is impossible, and the emptiness and futility that follow.

These emotions closely resemble the countless relationships we encounter in life.

수프는 어떤 그릇에 담기느냐에 따라 끊임없이 형태를 바꾸며, 결코 완전히 붙잡을 수 없는 관계의 본질을 상징한다.

반대로 포크는 그것을 어떻게든 붙잡으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포크가 닿는 순간마다 수프는 갈라지고 흩어져 버린다.

붙잡으려 애쓸수록 더 미끄러져 나가고, 남는 건 닿을 수 없음의 실감뿐이다.

이 장면은 관계 속에서 느끼는 무력감을 보여준다.

애초에 불가능하다는 걸 알면서도 끝내 붙잡고 싶어 하는 마음, 그리고 그 끝에서 밀려오는 허망함과 공허함.

그것들은 우리가 우리가 마주하는 수많은 관계들과 매우 닮아있다.

Previous
Previous

Equality